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브론즈1
- capitalize
- navigation component
- github action
- 실버2
- 데이터베이스 첫걸음
- 브론즈 1
- suspend programming
- 데이터베이스
- LazyRow
- .github
- 실버 4
- keystore
- kotlin
- DB
- compose
- 2레벨
- Myungpyo Shim
- 백준
- DB 기능
- LazyColumn
- 프로그래머스
- Bitrise
- Android
- 성빈랜드
- Activirty
- 개발하는 정대리
- 피보나치 수 2
- 최댓값 최솟값
- gradlew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github action (1)
plzy의 개발 블로그

CI라는 말을 들어본적이 있는가? CI는 Continuous Integration 의 약어로 개발> 빌드> 테스트의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이다. 참고로 배포를 자동화 하는것은 CD 이다, CI가 왜필요한걸까? 보통 사이드 프로젝트 같은 경우에는 자동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소요된다. 무척 귀찮아 질수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하는 걸 선호하는 개발자도 있다. 이럴 경우 추천한다! 인원이 많은 경우 인원이 많을 경우 출돌과 코드 변경 정도가 심해지고 검증도 깊어지기 때문에 각자 작업한 코드가 정상적으로 반뎡되는지가 중요하다. 프로젝트 규모가 큰 경우 내가 수정한 내용이 다양한 영역에 영향이 끼칠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. 본론으로 어떻게 사용하면 되는 것일까? 먼저 자신의 프로젝트에 Actions을 클릭해준다. 그..
Android
2022. 3. 31. 16:55